정우회

정우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!

문인 광장

가을에도 말릴 수 없는 것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류상진 작성일24-04-13 17:16 조회31회 댓글0건

본문

가을에도 말리지 못하는 것

관주산에서 운동을 마치고 내려와 보성읍 구교마을 쪽 농로 길을 걸어가는데 밭에 잎은 바짝 말라버렸지만 통통한 줄기 몇 개가

강하게 불어대는 바람을 이겨내며 씩씩하게 서 있는 것을 보고 선배께서 “아니 저 아까운 피마자를 왜 수확하지 않고

 

저렇게 썩도록 내버려 뒀을까?” 하며 안타까운 표정이다. “그런데 저게 잎도 다 썩어 버린 데다 가운데 줄기만 남아있는데

어떻게 피마자인 줄은 아셨어요?” “열매를 보면 모르겠는가? 이미 시커멓게 변했지만 가운데 몇 개가 뭉쳐서 달려있는

 

모양을 보면 영낙 없이 피마자 아닌가?” “그런데 저게 어떻길래 그렇게 아까워하세요?” “자네는 아직 잘 모르는 모양인데

저건 버릴 게 하나도 없는 아주 귀중한 식물이야.” “그래요? 저게 그렇게 버릴 게 없다는 이야기는 형님에게 처음 듣는 것 같네요.”

 

 

“그런가? 피마자는 아주까리라고도 부르는데 열매는 잘 말려 기름을 짜는데, 그 기름은 동백기름과 같이 여인(女人)들의

머리에 바르기도 하고 화상(火傷) 치료에 쓰이기도 했거든, 또 참기름이 없으면 피마자유를 음식에 넣어 먹기도 할 정도로

 

여러 가지 쓰임새가 많았어, 그리고 잎은 잘 말린 다음 겨울에 특히 정월대보름에 찰밥을 싸 먹으면 아주 맛이 있었고,

어디 그뿐인가? 줄기는 잘 걷어 말린 다음 겨울에 아궁이에 군불을 때면 아주 방도 따뜻하고 좋았어! 또 뿌리는 잘 말려두었다가

 

한약(漢藥) 재료로 사용했는데 오랜 세월이 지나다 보니 저렇게 아주까리가 홀대받는 세상이 되어버렸네.” 하자

옆에서 가만히 듣고 있던 후배가 “형님 말씀을 들어보니 아주까리가 아주 좋은 식품 겸 한약재인 것 같은데 저는 아직

 

 

한 번도 잎은 먹어본 적 없는데 형님은 드셔보셨어요?” “옛날 내가 젊었을 때 우리 어머니가 저걸 말려두었다가

겨울에 물에 불린 다음 꼭 짜내 갖은양념으로 무친 다음 ‘먹어보라!’ 주셨는데 그걸 밥에 싸 먹으면 정말 기가 막힌 맛이었거든.”

 

“그러셨어요? 저는 지난 대보름날 저의 어머니께서 가져다주신 토란잎으로 찰밥을 싸 먹으니 아주 맛있고 좋더라고요.”

“그러면 토란잎은 동생 어머니께서 말리셨을까?” “물론 그러셨겠지요. 그리고 옛날부터 저의 어머니는 가을이 시작되면

 

토란잎은 물론이고 시래기, 또 풋 호박을 잘라 말리기도 하고 늙은 호박을 가늘게 썰어 말리기도 하셨는데 고사리 나올 때가 되면

비료 포대를 가져가 한 포대씩 꺾어 오시더라고요.” “그러면 동생은 한 번이라도 고사리 꺾으러 가 본 일은 있는가?”

 

“저도 어린 시절 어머니 따라 몇 번 다녀온 적 있는데 그때 산에 가 보면 아주 통통하고 보기 좋은 고사리만 있는 것이 아니고

키가 큰 것, 작은 것, 또 통통한 것 날씬한 것 여러 가지가 있더라고요. 그런데 어쩌다 아주 통통하고 좋아 보이는

 

고사리가 하필 가시덤불 속에서 고개를 내밀고 있으면 아무리 가시가 찔러도 기어이 꺾어내거든요.” “그렇지 고사리 꺾으러

간 사람이 그게 무섭다고 못 꺾으면 되겠는가? 그래서 누가‘고사리 한 주먹만 주씨요!’ 한다면 그걸 꺾었던 공력을 생각하면

 

절대 못 주는데 나중에 나물로 만들면 이 사람도 한 접시 저 사람도 한 접시 나눠주거든,” “그런데 어디 고사리만 나누겠어요?

다른 나물도 다 나누어 먹는 것이 우리네 풍습인데 어쩌겠어요?” “그런데 가을이 되어도 한가지 말리지 못하는 것이 있더라고.”

 

“그게 무엇인데요?” “호박잎은 말리지 못하더라고.” “그건 왜 그럴까요?” “아마 그게 잘 부스러지니까 그런 것 같거든.

그런데 요즘은 그걸 따서 냉장고에 저장해 놓고 먹으니 옛날처럼 그렇게 죽기 살기로 말릴 필요가 없는 세상이 되었어.”

d1b68dfa3f733475744ce9aeaf16aa01_1712996169_71.jpg

지난 2024년 4월 9일 촬영한 홍매화 꽃입니다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